'스텔스전투기'에 해당되는 글 8건
- 2009.03.27 :: F-35의 무지막지한 무장탑재량 (3)
- 2008.09.12 :: F-35의 무장장착능력은?
- 2008.09.12 :: F-35의 블록별 발전양상은?
- 2008.07.23 :: F-35 JSF
- 2008.07.12 :: F-35 JSF의 웨펀베이 무장적재능력 개량. (1)
- 2008.06.14 :: F-35는 반쪽짜리전투기?! (6)
- 2008.06.12 :: 북한, 핵투발수단으로서의 AN-2
- 2008.04.28 :: 록히드마틴, 140대 한국 판매 승인 받은 상태.. (2)
스텔스기로 만들어진 전투기가 스텔스기를 포기한다. ㅋㅋㅋ
그럴거면 차라리, 그리펜NG,유로파이터를 사서 쓰는게 낫겠다... ㅋㅋㅋ
스텔스기로서의 무장탑재량은 내부무장만을 하므로, 5200파운드...
스텔스기를 포기한다면, 외부무장을 더해야 하므로 18000파운드...
무장만 놓고 본다면, 스텔스를 포기하는게 좋은데,
원래 스텔스기로서 만들어진 기체가 스텔스 기능을 포기한다면,, 너무 우스운 일 아닌가?.
ㅋㅋㅋ
암튼, 성능개량(내부무장의 개선, 데이터링크의 개량탑재, 측면 스텔스기능의 개량)이 안 되고 지금의 F-35는 F-16못지않게 공전의 히트를 치기에는 어렵다고 보여진다.
한국공군도 서둘러서 F-35를 구입하지 않았으면 한다.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H-64 아파치 공격헬기와 AH-1 코브라 공격헬기○ (2) | 2009.04.20 |
---|---|
탄도미사일의 원리. (0) | 2009.04.06 |
F-35의 무지막지한 무장탑재량 (3) | 2009.03.27 |
최종궤도의 자유조종이 가능한 TSV (Trajectory Shaping Vehicle) (0) | 2009.02.27 |
박격포_유럽의 자주박격포 현황 (0) | 2009.01.30 |
전차_T-72전차의 간이 도저 블레이드 (0) | 2009.01.30 |
무장 장착은 내부 무장창에 무장이 가능하며, 내부 무장창의 옆에 JDAM과 AIM-120 AMRAAM을 각각 1발씩 장착 가능하다.
F-35A, C형은 내부 무기고에 2,000 lbs급 폭탄까지 장착이 가능하며, F-35B는 단거리 이륙 및 수직 착륙 기능으로 인해 1,000 lbs급 폭탄까지 장착 가능하다.
외부 무장은 4개의 파일론(Pylon)이 부착되어 Inboard 파일론에는 5,000 lbs 까지, Outboard 파일론에는 2,500 lbs 까지 장착 가능하다.
그러나, 외부무장을 선택하였을 경우엔, 스텔스 기능을 포기해야 한다. 즉, 스텔스전투기가 비(非)스텔스 전투기가 되는 것이다.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ZM-87 Laser GUN레이저 총○ (1) | 2008.09.16 |
---|---|
NCTR로 스텔스적으로 적기를 포착하자. (0) | 2008.09.12 |
F-35의 무장장착능력은? (0) | 2008.09.12 |
F-35의 블록별 발전양상은? (0) | 2008.09.12 |
한국은 레이저우라늄농축법을 완전터득하고 있는가? (1) | 2008.09.07 |
중국의 90II전차와 일본의 90식전차 (0) | 2008.08.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F-35 Block 1 표준형이 되며, JDAM과 AIM-120을 운용가능한 기본 전투기임.
F-35 Block 2 표준형은 Block 1의 무장에 향상된 공대공 및 공대지 무장운용 능력을 추가하여 대공제압(SEAD), 근접항공지원(CAS), 항공차단(AI) 임무수행 능력을 갖출 예정.
F-35 Block 3형은 종심타격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공대공 및 공대지 무장을 더욱 추가 예정.
향후 F-35 항공기에는 레이져 무기가 장착될 계획이며, 레이져 무기 실용화는 2015년 이후에나 가능할 예정으로 있음.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TR로 스텔스적으로 적기를 포착하자. (0) | 2008.09.12 |
---|---|
F-35의 무장장착능력은? (0) | 2008.09.12 |
F-35의 블록별 발전양상은? (0) | 2008.09.12 |
한국은 레이저우라늄농축법을 완전터득하고 있는가? (1) | 2008.09.07 |
중국의 90II전차와 일본의 90식전차 (0) | 2008.08.06 |
○전차_포구속도와 탄속과의 관계○ (0) | 2008.08.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작전운용성능(ROC)
구 분 |
미 공군 |
미 해군 |
미 해병대 | |
속 도 |
M 1.8+(F-16, F/A-18과 대등) | |||
쏘 티 율 |
F-16, F/A-18 보다 우수 | |||
무장 능력 |
공대공 |
AIM-120×2 | ||
기관포 |
내 장 |
외 장 |
내 장 | |
공대지 |
1,000lbs JDAM×2 |
2,000lbs JDAM×2 |
1,000lbs JDAM×2 | |
최대장착 |
13,000lbs |
17,000lbs |
13,000lbs | |
외 장 |
4/hardpoint는 optional | |||
작전 반경(NM) |
600 |
600 |
450~550 | |
생 존 성 |
스텔스 능력 구비 | |||
비고 |
- |
항모 이․착륙 |
수직 이․착륙 |
□ 타 전투기와 성능비교
구 분 |
JSF(공군형) |
F-15E |
KF-16 |
F-22 | |
속 도 |
M 1.8+ |
M 2.5 |
M 2.0 |
M 2.5+ | |
전투행동반경(NM) |
600 이상 |
685+ |
370+ |
1,350 | |
쏘 티 율 |
F-16보다 우수 |
- |
- |
F-15보다 우수 | |
무게 (lbs) |
자 체 |
22,000 |
32,000 |
18,600 |
31,670 |
최대이륙중량 |
50,000 |
81,000 |
42,300 |
70,000 | |
엔진 |
대수/종류 |
1/F119 |
2/F100 |
1/F129 |
2/F119 |
최대출력(lbs) |
35,000 |
29,000×2 |
29,000 |
35,000×2 | |
무장 능력 (lbs) |
공대지(내장) |
1,000×2 |
없음 |
없음 |
1,000×2 |
공대공 |
AMRAAM×2 |
AMRAAM×8/ |
AIMRAAM×6/ |
AMRAAM×6/ | |
최대장착 |
13,000 |
24,500 |
15,600 |
미상 |
□ 소요량 및 생산계획
ㅇ F-35 소요량
구 분 |
소요량 |
전력화 예상시기 |
비 고 |
미 공군 |
1,763 |
FY 11 |
A-10과 F-16 교체 |
미 해군 |
480 |
FY 12 |
F/A-18E/F 보충 |
미 해병대 |
609 |
FY 10 |
AV-8과 F/A-18 교체 |
영국 해군 |
60 |
FY 12 |
Sea Harrier 교체 |
영국 공군 |
90 |
|
Harrier 교체 |
계 |
3,002 |
|
|
ㅇ 생산 계획(초도)
최종 인도 |
F-35A |
F-35B |
F-35C |
영국 |
계 |
’09. 1/4 |
6 |
|
4 |
|
10 |
’09. 2/4 |
14 |
|
8 |
|
22 |
’10. 1/4 |
20 |
9 |
20 |
5 |
54 |
’11. 1/4 |
30 |
20 |
32 |
9 |
91 |
’12. 1/4 |
44 |
32 |
32 |
12 |
120 |
’13. 1/4 |
72 |
48 |
36 |
12 |
168 |
계 |
186 |
109 |
132 |
38 |
465 |
ㅇ 예상 단가 (’02년 DMS 참조)
구 분 |
공군형 |
해군형 |
해병대형 |
예상단가(만불) |
3,100 |
3,800 |
3,500 |
□ 국제개발 참여국가 및 수준
구 분 |
참여국가 |
투자규모 |
참 여 방 안 |
공동 개발 파트너 |
영국 |
20억$ |
ㅇ 공동개발참여 |
준 파트너 |
덴마크, |
12억$ |
ㅇ 특수기술 및 핵심계획에 제한적참여 |
정보 교류 파트너 |
캐나다, |
2.5억$ |
ㅇ 개발정보 획득 및 이용 |
주요 FMS 참가국 |
터키, |
미상 |
ㅇ FMS 구매국가로 참여 |
□ 향후계획
ㅇ 07 : 실전 배치
ㅇ JSF 예상소요 : 약 3,002대(2,000억$)
- 미 국 : 2,852대 (1,763/공군, 480/해군, 609/해병대)
- 영 국 : 150대(90/공군, 60/해군)
※ 타 국가 판매 예상대수 : 3,000대 수준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단총과 자동소총의 차이점은?? (0) | 2008.07.25 |
---|---|
도하와 도섭의 차이점 (0) | 2008.07.25 |
F-35 JSF (0) | 2008.07.23 |
멕시코, 딱 걸린 마약잠수선? 가디르급? 순시선은? (0) | 2008.07.21 |
중국, JL-10A 데이터 (KLJ-3) 1473형 레이다 (0) | 2008.07.17 |
주한미군의 대화력전 체계[오래전 자료?] (0) | 2008.07.1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F-35 JSF의 웨펀베이 무장적재능력 개량.
F-35 JSF는 F-22와 함께 본격적인 스텔스 능력을 보유한 5세대 전투기임은 틀림없다.
개발에 거액을 쏟아부었음에도 불구하고 F-35 JSF가 F-22에 비해 푸대접에 가까운 대접을 받는 것은 F-22보다 못한 레이더의 성능, 스텔스 전투기로서의 무장능력이 약함때문일 것이다.
레이더성능이야 아직 F-22를 제외하곤 비교 할 대상이 없으니 비교우위를 점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럼 문제는 무장능력이다.
F-35 JSF는 스텔스기이기 때문에 내부무장만을 적재한채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만일 외부무장을 더 추가하게 될 경우, 무장능력이야 강해지겠지만, 대신 스텔스적인 면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스텔스기로서의 가치는 없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F-35 JSF의 스텔스적인 면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선 철저히 내부무장에만 의존해야 한다.
그런데 이 내부무장능력이 말썽이다.
현재 F-35 JSF의 웨펀베이라고 불리는 좌우 내부무장창에는 공대공 미사일2기와 2000파운드급 공대지 폭탄을 2기 무장 할 수 있는 능력밖엔 안된다.
공대공 전투를 하기에도, 공대지 공격을 하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무장능력인 것이다.
이런 무장능력을 가지고선 제대로 된 전투도 하지못하고 귀환해야 하는 상황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성능의 레이더 성능으로 우위를 점하고도 무장능력의 결여로 후퇴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내 몰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F-35 JSF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웨펀베이(내부무장창)의 개선이 필요하다 하겠다.
윗 사진은 현재의 F-35의 웨펀베이이다. 무장이 참 단촐하다.
현재의 F-35 JSF는 2000파운드급 공대지 폭탄을 운용하게끔 되어있는데, 여길 개선 해 볼 필요가 있다.
지금은 JDAM같은 2000파운드급 공대지 폭탄 1기씩만 좌우 내부무장창에 탑재 할 수 있게되어 있는데 이를 개선하자는 것이다.
여기에 파일런을 추가하고, 트라이포드(미사일을 3발 달수 있는 포드)를 탈착이 가능하게 만들어서 부착하여 운용하면 어떨까 생각 해 본다.
AIM-120 같은 공대공 중거리 미사일을 운용 할 경우엔, 트라이포드를 부착하여 사용을 하고, 공대지 공격임무를 하기 위해 JDAM을 탑재한다면, 트라이포드를 떼어내고 JDAM를 파일런에 직접 부착하여 운용하면 어떤가? 말이다.
AIM-120을 장착하기 위해선 트라이포드를 다시 만들어야겠지만 말이다. 아래의 파일런을 응용하여 개조, 운용하면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좌우 내부무장창마다, 암람 3발씩을 운용 할 수 있고, AIM-9X를 1발씩을 운용 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도합 암람 6발, AIM-9X 2발.
그럼 과거에 비해 전체적으로 공대공 전투능력이 확실히 증가되는 것 아닌가?
좌측의 그림은 현재의 F-35무장베이, 우측그림은 제안 개조그림.
출처: 본인작성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JL-10A 데이터 (KLJ-3) 1473형 레이다 (0) | 2008.07.17 |
---|---|
주한미군의 대화력전 체계[오래전 자료?] (0) | 2008.07.14 |
F-35 JSF의 웨펀베이 무장적재능력 개량. (1) | 2008.07.12 |
러시아, 차세대 전투기들 실전배치는 2010년 이후로... (0) | 2008.07.10 |
차세대 전투기 'F15K vs F35' 누가 이길까? (1) | 2008.07.09 |
이스라엘, 시리아가 이란에 핵연료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 (0) | 2008.07.04 |
○F-35는 반쪽짜리전투기?!○
근데, 문제가 있다.
F-35가 스텔스적인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선 외부무장은 안 하고, 내부무장만을 한채 운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헌데 F-35가 내부무장창에 탑재 할 수 있는 공대공미사일의 수는 단 2발. 내부무장되는 폭탄을 제외하고라도 공대공미사일의 수는 달랑 2발이다. 빈약한 공대공 무장때문에 상대 전투기와의 우세를 점하고도 후퇴를 할 수 밖에 없는 일이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지금의 F-35로는 제대로 된 공중전을 수행 할 수 없다는 것.따라서 F-35는 현재로선 대당 단가가 비싸기만한 반쪽짜리 전투기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F-35의 한계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F-35는 F-22와는 달리 초음속순항 비행을 할 수 없으며, LINK-11,16과 같은 데이터링크 체계를 달려고 해도 기체의 외부에 부착되어질 데이터링크 전용 송수신 안테나의 돌출로 인해 F-35기체의 RCS(레이더 반사면적) 증가문제가 생기기도 하며, 항속거리의 증대를 위해 보조연료탱크를 달고 임무를 수행 할 수 없다는 점도 F-35가 반쪽짜리 전투기임을 증명해주고 있다. 결국, F-35가 위 문제들을 해결 한다면 성공적인 스텔스 전투기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겠지만 만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상당기간 동안 반쪽짜리 전투기로 남을 확률이 클 것으로 보여진다.
출처: 본인작성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HAT 대전차 미사일 (2) | 2008.06.23 |
---|---|
구 소련, 대인배스런 무기체계들,,,,, (0) | 2008.06.18 |
F-35는 반쪽짜리전투기?! (6) | 2008.06.14 |
전술핵은 무엇이고, 위력은 얼마인가? (0) | 2008.06.12 |
핵폭탄의 소형화: 아메리슘과 넵투늄 (0) | 2008.06.10 |
내열성이 강화된 수소저장탱크 (0) | 2008.06.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
-
Addr Edit/Del Reply 김동훈
대이터링크는 이미 f-35 에 자동포함 아닌가요? 5세대 전투기의 기본 마인드가 정보전자전인걸 감안하면 이미 데이터링크는 f-35안에 포함되어잇다고 생각합니다
2008.08.03 10:58
그리고 짧은 항속거리 말씀하셧는데여 공중급유기가 잇다면 이야기가 달라지지 않을까요?? 그리고 스텔스성능은 개전초기 적군의 방공망돌파용으로만 사용되고 나머지 제공권의 우위를 점햇을떄는 스텔스성능이 그다지 필요하지낳어 f-15E 스트라이크이글보다 더 많은 무기적재량을 자랑한다구 생각하구요 f-35의 내부무장창은 8칸이구요 2칸은 동체 정중앙 하부만 즉 ALM-120장거리 공대공미사일용 웨펀베이구요 나머지6칸은 aim-9L중거리 공대공미사일더 끼워넣을수 있습니다 랩터가 구사하는 공중전 전술도 중거리공대공미사일을 이용한 격추니깐 공대공무장이 두발이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됍니다. 참
그리고 f-35의 공식사업명이 JSF인건 아시죠 joint strike figther 인디 3군통합종심타격전투기 즉 타격기 F/A-35의 의미가 애초 설계부터 적용되어서 f-35A의경우 공대공능력보다는 공대지능력이 우선되서 계발된 기체라는거 알아두시구요
어쩃든 당장은 정확한 DB가 없어서 모르겟지만 LOC 를가지는 2010년경과 f-35가 블록30까지 개량된후 진정한 f-35가 되고나서 진가가 알려지겟지요-
Addr Edit/Del 지나가다가
F-22도 데이터링크문제가 해결이 안 된 상황입니다. 그런데, F-35가 데이터링크가 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지요..
2008.08.03 13:38 신고
공중급유기가 있으면 항공보급을 통해 항속거리가 늘어날테니 당연히 항속거리의 증대가 될거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지금은 공중급유기가 없잖아요.. 급유기가 없는 현실을 먼저 인지해야지요. 공중급유기가 언제 도입될지도 모르는데..
내부무장창이 8개라고요? 분명 내부무장을 할 수 있는 웨펀베이는 2곳이고, 1곳당 암람1발, JDAM 1발을 수납 할 수 있습니다. 즉, 2개의 웨펀베이를 운용하므로 2개의 암람, 2개의 JDAM을 운용하는 것입니다.
공대지폭탄인 JDAM을 운용하지 않는다면 암람 2발을 더 운용 할 것입니다. JDAM 1발의 용적이 암람 2발과 맞먹으니까요.
그리고 중앙은 내부무장이 아닌것으로 압니다.
중앙은 1000파운드급의 폭탄을 달수있는 하드포인트만 있을 뿐입니다.
F-35는 미안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완성된 공격기가 아니랍니다. 제대로된 F-35를 보려면 2017년까지는 기다려야 합니다.
아! 그리고 비교하였던 F-22는 내부무장으로만 무려 8발의 미사일을 수납 할 수 있는 무장능력을 가집니다.
-
-
북한, 핵 투발수단으로서의 AN-2
북한 저공침투기(AN-2)는 특수전병력을 몰래 잠입을 시킨다던가, 폭탄을 싣고 몰래 공격을 하는데 아주 유용한 항공 투발수단이다. 특히 저공침투기(AN-2)는 30mX250m의 공간만 주어지면 이착륙 가능 할 정도로 이착륙의 공간이 제약을 덜 받고 있다. 이미 알다시피 저공침투기(AN-2)는 목재와 우포로 만든 날개와 동체를 하고 있기 때문에 레이더 전파에 잘 걸리지 않을 뿐더러 걸린가 하더라도 레이더 화면에는 작은새의 크기정도로만 나타나기때문에 탐지해내기가 여간 쉽지 않다. 북한이 이런 몰래 잠입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가진 저공침투기(AN-2)를 핵 투발수단으로 사용한다면 어떨까?
북한에는 이미 폭격기가 존재한다. 그것은 대형의 폭격기는 아니고 경 폭격기이다.
이름은 IL-28 Beagle.
북한은 이 비글 경폭격기를 무려 80여대가 넘는 수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폭격기전대를 이뤄 운용하고 있다. 한국이 북한이 핵투발을 할 경우 가장 먼저 의심 할 수 있는 기종이 이 비글 경폭격이다. 그러나 북한이 IL-28 비글 경폭격기가 아닌 저공침투기(AN-2)를 이용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왜냐하면, 북한군의 IL-28 비글 경폭격기는 폭격기로서 느린속도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한국의 방공망에 쉽게 포착이 되어 산화 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저공침투기(AN-2)는 레이더에 잘 탐지가 안되는 저탐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침투하면서 일부지역에 화학작용제를 투발하여 한국군측의 행동을 굼뜨게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 목표지점으로 계속 이동을 하여 목표물에 핵 투발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저공침투기(AN-2)의 핵 탑재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북한군이 핵탄두를 소형화하여 저공침투기(AN-2)에 탑재가 가능하였을때만이 가능한 일이다. 미국의 국방정보국은 2005년 5월10일에 북한의 핵탄두가 650 ~750kg 정도 될 수 있다 언급을 하였었다. 그리고 저공침투기(AN-2)의 탑재량은 1,022kg ~ 1,522kg이기에 북한이 핵무기를 약 1.5ton으로 소형화 시켰을 경우 탑재가 가능 1발이 탑재가 가능하고 650 ~ 750kg이라면 2발까지도 탑재가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저공침투기(AN-2)는 이미 북한에 300대 가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본인작성
'북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이 핵 신고를 한다고?? (0) | 2008.06.29 |
---|---|
북한, 핵실험 의혹 짙은 시설 8곳... (1) | 2008.06.12 |
북한, 핵투발수단으로서의 AN-2 (0) | 2008.06.12 |
북한의 김정일은 소형 핵무기에 큰 관심 (0) | 2008.06.10 |
북한, 핵 억지력 포기 안 할수도... (0) | 2008.06.10 |
북한, 플루토늄 37㎏ 생산?? (0) | 2008.06.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F-35 라이트닝-2를 개발하고 판매중인 록히드마틴이 아직 국제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있는 스텔스 전투기인 F-35 라이트닝-2를 한국에 140대 가량 판매 할 수 있는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고 한다.
F-35 라이트닝 전투기는 미국이 스텔스 전투기를 2014년 이후에나 판매 할 수 있다는 법안에 발이 묶여 아직은 국제적으로 판매되지 않는 F-22보다는 떨어지는 현재로선 랭킹2위의 스텔스 전투기이다.
과연 록히드마틴이 한국에 140대가량의 스텔스 전투기를 판매 할 수 있을 것인가? 다음의 그래프를 보면 2014년부터 전투기의 판매가 가능하다는 유추를 해 볼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일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판매시기라는 것이다.
하지만 의구심을 갖게 만드는 것은 F-35프로젝트는 미국 독자적으로 한 것이 아니고 8개국의 공동개발형식으로 만든 것인데, 이들 8개국보다 한국에게 먼저 판매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록히드마틴은 2013년 이후에 생산되는 물량을 조정하여 한국에게 판매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정확한 록히드마틴의 입장을 몰라 아쉬울 뿐이다.
출처: 그레픽은 록히드마틴 홈페이지.
'밀리터리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 로봇병사 개발 (0) | 2008.04.30 |
---|---|
화살촉탄(Flechette)... (0) | 2008.04.29 |
록히드마틴, 140대 한국 판매 승인 받은 상태.. (2) | 2008.04.28 |
중국, 99형 전차 최신 개량 증가장갑 장착 형태[사진] (0) | 2008.04.28 |
스웨덴 SAAB, 한국형 전투기 사업에 적극참여 할 터 (0) | 2008.04.26 |
한국, 군대도 남여평등이어야 한다. 왜? 남자만 군대가야만 하나? (0) | 2008.04.2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스텔스기라고 해도 항상 스텔스 상태로만 비행할 필요가 없죠. 개전초기 적의 대공망을 제압하고 나면 지상공격을 할때 굳이 스텔스 비행이 필요없죠. 공대공 전투에서도 BVR능력에 자신이 있다면 역시 구태여 스텔스 비행의 필요가 없죠. 원래 F-35는 그런것까지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겁니다.
2009.03.30 16:03개전초에만 스텔스 기능만을 요구한다면, 굳이 스텔스 기능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겠지요.. 차라리 전자전기를 앞세워 적 레이더기지를 무력화한다음에, 주렁주렁 폭탄을 달고 폭격하면 될테니까요..
2009.03.31 21:00개전초에만 적용된다면 말입니다.
하지만, 스텔스 기능의 효용은 적기와의 공중전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입니다. 그래서 스텔스 스텔스 하는 것입니다. 적기와의 우위를 조금이라도 점한다면 그건 공중전에서의 승리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라 볼 수 있지요. 공중전에서는 한 끝발 차이로 승부가 나니까 말이죠.. 따라서 스텔스 기능은 공중전(원거리 공중전이든, 근거리 공중전이든,,)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기능입니다.
요즘 전투기치고 BVR능력이 없는 전투기가 어디 있습니까? 대부분 BVR능력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그 BVR능력의 차이가 날뿐이죠. 그럼 거의 차이가 안 나는 BVR능력을 가진 전투기끼리 조우 한다면, 누가 이길까요? 그렇죠.. 먼저 보고 먼저 쏘는 사람이 이길 확률이 높겠죠? 그럼 적 전투기가 아군의 전투기를 잘 탐지 하지 못하게 위해선 뭐가 필요하죠?
스텔스 입니다... 스텔스는 '은닉,감추다'라는 뜻이죠
바로 스텔스 기능의 유무, 스텔스 능력의 차이가 거의 대등한 BVR능력을 가진 전투기끼리의 공중전 승패를 좌우한다고 봐야겠지요...
이래도 스텔스 기능이 개전초에만 필요한 기능일까요?
암람 딱 네 기 이상만 몸 체 안에 들어가면 좋을텐데.. 좀 아쉽네요..
2009.04.19 23:01